본문 바로가기

(마이)데이터6

마이데이터 관련 정책과 법령, 규제 국내 마이데이터 정책 전개 과정 시기 내용 2015.07 금융위원회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 정책 발표 2017 마이데이터 기반 통합자산관리서비스 출시 2018.02 ~ 04 4차산업혁명위원회 규제·제도 혁신 해커톤 2018.07 금융위원회 마이데이터 정책 발표 2020.01 데이터 3법 국회본회의 통과 2020.03 기록열람 등 정보이동권 관련 의료법 개정 2020.08 데이터 3법 시행 2021.02 금융 마이데이터업 최초 허가 2021.06 4차산업혁명위원회 ‘마이데이터 발전종합계획’ 발표 2021.10 민원인의 요구에 의한 본인정보 공동이용 조항이 포함된 민원처리법 시행 2021.12 정보주체 본인에 관한 행정정보의 제공요구권이 포함된 정자정부법 시행 금융 마이데이터 시범 시행 2022.. 2024. 1. 24.
마이데이터(My Data) 산업 시장, 비즈니스 모델, 의료 분야 사례 당신이 어떤 분야에서 어떤 목적으로 리서치를 하고 있든, 이 포스팅 하나면 숙제 끝이다. 특히 의료 분야의 마이데이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사례도 자세하게 적어두었다. 데이터 산업 조망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개요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8.7% 성장. 20조 24억 원 2021년에는 23조 972억 원 규모로 예상 2019년부터 2021년 예상치까지 3개년 연평균 증감률(CAGR)은 17.1%. 지속적인 성장세 202년 기준, 데이터산업의 부문별 규모를 살펴보면,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시장이 9조 7,891억 원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이 7조 6,999억 원,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이 2조 5,133억 원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시.. 2024. 1. 23.
헬스케어 서비스 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병원정보시스템(HIS) 개념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이하 HIS) 개요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무수한 일련의 진료, 행정, 물류 및 경영을 연결시켜 운영하는 신경계 역할을 하는 시스템. 진료 프로세스(아래 스크린샷) 전반에 걸쳐 데이터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작용. HIS의 3요소 이론적으로 HIS는 1)임상정보시스템, 2)행정정보시스템, 3)전략경영시스템으로 구분. 그러나 실제 대부분의 병원에서, 임상정보시스템에 속하는 처방전달시스템에 ‘진료’, ‘경영', ‘원무’, ‘간호’, ‘지원’ 등에 관한 데이터가 물려 있는 구조 임상정보시스템 중 ‘전자의무기록’과 '의료 영상저장전송시스템'은 별도 시스템으로 구축 전략경영시스템에는 HIS의 데이터를 분석해 병원 경영자가 병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도와.. 2024. 1. 16.
헬스케어 웹/앱 서비스 개발 시 활용할 수 있는 '오프소스' API와 DB 목록 지난 포스팅에서 웹/앱 서비스를 개발할 때 내가 직접 개발하지 않고도 유용한 기능(예를 들어, "캘린더", "OCR")을 서비스에 탑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공개 API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웹/앱 서비스 개발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API와 DB 목록 (tistory.com) 웹/앱 서비스 개발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API와 DB 목록 겉으로는 간단해 보이는 웹이나 앱 서비스라도 그 서비스를 구성하고 있는 DB와 API는 아주 복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창 하나만 달랑 노출되는 구글의 메인 화면을 떠올려 보세요. 이용 mokeya2.tistory.com 그런데 헬스케어 분야, 즉 건강관리에 특화된 서비스를 개발하고 한다면 조금 다른 종류의 DB와 API를 사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 2024. 1. 14.